우리가 모르는 곳을 찾아가려면 주소록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www.daum.net을 치면, Daum회사의 서버에서 정보를 받아온다.
웹브라우저는 Daum서버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 찾아가는 것일까? 답은 주소를 알고 찾아간다.
주소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IP주소, 나머지 하나는 MAC 주소이다.


● 주소의 종류

- IP주소(숫자)
  사설IP(private) : 서버가 아닌 이상 공인 IP를 가질 이유가 없다. 외부에서 접속 못하고 자기들끼리만 서로 통신함. NAT
  공인IP(public) : 전세계에 있는 사람들이 다 나를 찾아올 수 있다. 중복 안됨.
- MAC주소(16진수)


PC에서 웹브라우저로 www.daum.net을 치면 맨 처음 /etc/hosts파일 내에 해당 URL의 IP주소를 찾아본다. 그러나 사이트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버려서 하나의 파일에 다 넣을 수가 없게 되었다. 그 대행을 하게 된 것이 DNS서버이다. DNS서버에게 Daum서버의 IP주소가 뭐냐고 물어보면 알려준다. 만약 DNS서버가 모르면 또 다른 DNS서버에게 물어본다.

DNS서버가 없어도 인터넷은 된다. /etc/hosts파일 안에 넣어두면 되기 때문이다.

DNS서버 : URL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역할.
DNS서버를 사는 게 아니라, 리눅스를 깔고 그 안에 해당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깔아 셋팅을 해놓으면 그 컴퓨터는 DNS역할을 하는 서버가 된다. (bind라는 프로그램)


● 네임 서버의 개념




우리가 알고있는 168.126.63.1은 KT의 대표적인 DNS서버 주소이다. 그렇다면 KT의 DNS서버는 이 한대 뿐일까? 그건 아니다. 전국에 DNS서버가 흩어져서 다수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과부하를 방지한다.
개인적으로 내가 사이트 하나를 구축한다는 가정 하에, 처음 할 것은 도메인 주소를 사야 한다. 도메인 주소라는 것은 전세계에서 중복이 안되는 고유한 것이다. 이러한 도메인 주소를 관리해 주는 기관이 있는데 InterNIC이다. 각국에 지사를 두고 있는데, 한국 지사에서는 한국의 모든 도메인을 관리한다.
한국 지사라 해도 한국의 모든 접속을 관리할 수 없으니까 외주업체(가비아, 후이즈 등)를 둔다.
내가 나의 도메인을 후이즈에서 확보했다고 가정하자. 그런 다음 두번째로 할 것은 홈페이지를 제작한다. 홈페이지를 만들면 웹서버에 넣는데 자신의 웹서버를 만들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도메인을 확보한 업체의 웹서버를 빌려쓰기도 하는데 이를 웹호스팅이라고 한다.
규모가 큰 회사에서는 자신들의 DNS서버를 따로 두기도 한다.


[과제] RHEL4에 맞는 bind 소스버전을 받아서 설치하고, 각자 DNS서버를 셋팅해보고난 후, 자신의 컴퓨터를 DNS서버라 가정하고 주변의 컴퓨터에서 나의 DNS서버를 지정하여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하라. (VM웨어 네트워크 부분을 NAT에서 Bridged로 바꿔놓고 실습)

1. openssl의 압축을 풀고, 설치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2. openssl이 설치될 경로를 config의 옵션을 이용하여 지정하고, 소스를 컴파일 및 설치한다.


3. bind의 압축을 풀고, 설치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4. configure 명령의 옵션을 주어 설치될 경로와, openssl의 경로 등을 지정해주고 난 후 컴파일 및 설치를 한다.


5. named의 환경설정파일을 생성하여 내용을 입력한다.


6. dig명령을 이용하여 최상위 루트 도메인 정보파일을 생성하고 내용을 확인해본다.


7. localhost의 정방향 영역 파일을 생성한 후 내용을 입력한다.


8. localhost의 역방향 영역 파일을 생성한 후 내용을 입력한다.


9. sksstar.com 도메인의 정방향 영역 파일을 생성한 후 내용을 입력한다.


10. sksstar.com 도메인의 역방향 영역 파일을 생성한 후 내용을 입력한다.


11. /usr/local/bind/sbin 안의 named 체크 명령을 이용하여 bind의 환경설정 파일과 영역 파일의 설정을 검사한다. 모두 OK가 뜨면 정상적인 설정이다.


12. named 서비스를 실행한다. 프로세스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해본다.


13. 다른 컴퓨터에서 내가 설정한 네임서버 주소를 입력한 후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해본다.


14. 정상적으로 인터넷이 되면 성공이다.


15. 긴가민가 하다면 named 서비스를 내린 후 인터넷을 해보자. 인터넷이 안되는가? 그러면 성공이다.


16. 다시 named 서비스를 올린 후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해보면 정상적으로 웹페이지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2차 수정본



※ 참고 문서
※ 참고 사이트
http://www.unix.co.kr/bbs/board.php?bo_table=05_05&wr_id=131&page=3
Posted by 겨울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