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리눅스
[리눅스] 디스크 추가하기
겨울섬
2010. 7. 6. 04:56
● 디스크와 메모리
디스크 | 메모리 | |
속도 | 저속 | 고속 |
가격 | 저가 | 고가 |
용량 | 고용량 | 저용량 |
용도 | 저장용 | 작업용 |
● 디스크의 종류
용량 | 속도 | 가격 | 단점 | |
PC에서 많이 사용 IDE(E-IDE) |
고용량 | 저속(5400 rpm) | 저가 | |
SATA | 고용량 | 고속 | 저가 | 복구가 안됨 |
SATA2 | 고용량 | 고속 | 저가 | SATA단점 해결 |
서버에서 많이 사용 SCSI |
저용량 | 고속(기본 15K rpm) | 고가 |
● OS별 디스크 관련 명령어 비교
리눅스 | 솔라리스 | 윈도 | |
파티셔닝 | fdisk | fdisk | fdisk |
포맷 | mkfs | newfs | format |
mke2fs | |||
mke3fs | |||
마운트 | mount | mount | 자동 |
● OS별 디스크명 표기 예시
타입 | 리눅스 | 솔라리스 | 윈도 |
SCSI | /dev/sda | c0t0d0s0 | C: |
/dev/sda1 | D: | ||
/dev/sda2 | |||
/dev/sdb | |||
IDE | /dev/hda | ||
/dev/hda1 | |||
/dev/hda2 | |||
/dev/hdb |
* 논리적이름 : 유저가 디스크를 부르는 이름. 위의 표기 예시가 논리적이름임.
* Hot Swap : 장비가 켜져있을 때 디스크를 꽂고 빼고 할 수 있는 기능.
● 디스크 추가 과정
HDD 추가 // Power Off
↓
OS 부팅
↓
파티셔닝
↓
포맷
↓
마운트
↓
OS 부팅
↓
파티셔닝
↓
포맷
↓
마운트
● HDD 추가
1.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를 선택한다.
2. Add 버튼을 누른다.
3. Hard disk 선택 후 Next
4. 기본 적용 상태로 계속 Next
5. 추가시킬 디스크 용량 설정 후 Next
6. 디스크의 이름을 지정 후 Finish
7. New hard disk 에 새로 추가한 디스크가 보인다. OK 버튼을 눌러 빠져나온다. 하드를 붙인 후 파티션, 포맷, 마운트 작업을 위해 OS를 부팅한다.
● 파티셔닝(구획 나누기)
위에서 1G용량의 하드를 장착했다. 이것을 600M과 400M으로 파티션을 나눠본다.
1. 루트로 로그인 후 fdisk 명령으로 장착된 하드가 잘 인식되었는지 확인해본다. /dev/sdb 라는 이름의 디스크가 인식되었음을 확인했다. 이제 fdisk /dev/sdb 명령으로 파티셔닝을 시작한다.
2. n을 누른다. (add a new partition)
3. p를 누른다. (1~4번까지는 Primary partition이므로 p)
그리고 첫번째 파티션이므로 1을 입력.
4. 첫번째 파티션의 첫 실린더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디폴트로 1이 입력되어있으므로 엔터.
마지막 파티션의 실린더번호는 즉 해당 파티션의 용량을 뜻하므로, 우리가 하려는 목적인 +600M를 입력.
그러면 첫번째 파티션이 만들어졌다.
5. 두번째 파티션도 첫번째 파티션을 생성할 때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되, 두번째를 뜻하는 2를 입력하는 것과 총 1G의 용량 중 첫번째 파티션에 할당된 600M을 제외한 나머지 용량을 할당하기 위해 +$를 입력하는 것이 다르므로 주의한다.
6. 위에서 바로 w를 눌러 저장해도 되지만(write table to disk and exit), 파티션이 제대로 만들어졌는지 조회해보려면 p를 누른다.(print the partition table)
첫번째 파티션과 두번째 파티션이 잘 만들어졌음을 확인했다.
7. w를 눌러 저장한다. 파티션 설정 정보 관련 내용은 추가한 해당 디스크 안의 MBR(마스터부트레코드)에 저장된다. (솔라리스는 label 명령어임)
● 포맷
ext3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해본다.
1. 첫번째 파티션의 장치명인 /dev/sdb1을 mkfs.ext3의 명령어로 포맷한다.
2. 두번째 파티션도 마찬가지로 포맷한다.
● 마운트
첫번째 파티션은 루트디렉토리 밑의 p1디렉토리에, 두번째 파티션은 루트디렉토리 밑의 p2디렉토리에 각각 마운트 시켜본다.
1. p1, p2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mount명령어를 이용하여 마운트 시킨다. 잘 되었는지 df 명령어로 조회해본다.
2. 이후 OS를 종료해버리면 나중에 재부팅시 마운트가 되어있지 않다. 앞으로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계속 마운트가 되어있게 하기 위해 /etc/fstab 파일을 열어 수정한다. 오타가 있으면 부팅에서 오류가 나니 주의한다. vi를 열었을 때 글자가 깨져보인다면 캐릭터셋을 EUC-KR 또는 UTF-8로 바꾼 후 다시 파일을 열어야 한다.
[Q1] 6G HDD 추가 후
2G -> /test1
3G -> /data1
나머지 -> /u01/app 에 마운트 시켜 보라.
[Q2] 2G HDD 추가 후
전체를 oracle계정의 /backup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변경하라.